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클라우드 기본
    #01. 기본은 알자/#01.3 클라우드 2019. 1. 16. 15:13

    1. 클라우드 개념


     클라우드 구름이란 의미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랑 인터넷을 기반으로 자신이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인프라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경우 서버, Database, 스토리지, SW 등 ICT 자원을 필요 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손쉽게 초반 인프라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확장이 용이하다. 


    2. 관련 주요 용어


     KISA의 2013.06 '크라우드 컴퓨팅 동향은 다음과 같이 용어를 정리하고 있다.

     구분

     주요 개념

     서비스 유형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이용자에게 서버,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 자원만을 임대, 제공하는 서비스 
    •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 가상화 기술과 동적 자원할당 기술 사용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이용자에게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을 임대, 제공하는 서비스
    • 다중 사용자 지원 기술과 표준 프레임 워크 기술,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술 사용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이용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임대, 제공하는 서비스
    • 다중 애플리케이션 관리 기술
    • 웹과 API 서비스 

     서비스 운용 형태

    퍼블릭 클라우드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 아마존 및 통신사, 포털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 및 기관 내부에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구성하여 내부자에게 제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결합
    • 공유를 원하지 않는 일부 데이터 및 서비스에 대해 프라이빗 정책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 
    •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여 사용 중인 특정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 중의 일부분(백업 저장장치와 대외 홍보용 웹서버)은 공용 클라우드 업체에서 서비스를 받으며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식


     IaaS와 Paas, Saas는 우리 주변에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SaaS의 경우 한컴 웹 오피스나 MS 웹 오피스가 있으며 PaaS는 구글 앱 엔진과 MS 애저, IaaS의 경우 아마존 웹 서비스가 존재한다.


     조금 더 차이점을 알아보자.


     IaaS는 가상머신을 기반으로 PaaS는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IaaS는 가상머신을 통해 HW 자원의 공동 활용이 이루어 지며 최대 사용량의 기복이 있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HW 자원을 공동 활용하게 함으로써 HW 자원의 활용률을 높인다.

     또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HW의 구성을 자동화 한다.

     PaaS는 가상머신 위에 실행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를 만들어 IaaS보다 2~3배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프레임워크, 미들웨어, OS 등 SW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자동화한다.


     IaaS가 HW의 자동화라면 PaaS는 그 상위계층의 어플리케이션과 소프트웨어를 자동 설치해주는 개념이다.


    초안: 2019.01.16 / version 0.1

    댓글

Designed by Tistory.